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국내 ETF

KODEX ACE RISE 미국S&P500 ETF 비교 수익률과 비용 고려시 360200 추천

by 그린망고 2025. 3. 29.
반응형

최근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TIGER ETF의 분배금을 줄여 지급하면서 많은 투자자분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분배금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 미래에셋 측에서는 "분배금 과세 개편으로 인해 보수적으로 책정되었으며, 잔여 분배금은 4월 말 추가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투자자들의 실망감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국내상장 미국S&P500 ETF 비교

이번 일로 일부 투자자분들은 TIGER ETF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상품을 찾고 있으며, KODEX, RISE, ACE와 같은 다른 국내 자산운용사의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

국내 ETF 시장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산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입니다. 이 두 회사는 미국의 블랙록(BlackRock)과 뱅가드(Vanguard)에 비견될 만큼 국내 시장에서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에셋의 분배금 이슈 이후, 투자자분들은 다른 자산운용사의 상품을 고려하는 분위기입니다. 미래에셋을 대체할 수 있는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삼성자산운용의 KODEX, KB자산운용의 RISE,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가 있습니다.

S&P500 ETF 비교

특히, 이들 자산운용사가 출시한 미국 주식형 상품에 많은 투자자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S&P500과 나스닥100을 추종하는 상품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래에셋의 TIGER 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KODEX, RISE, ACE 상품은 어떤 특징이 있으며, 수익률과 비용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자료는 ETF CHECK의 자료입니다.

수익률 비교

S&P500 ETF 1년 수익률 비교

먼저 많은 상품 중에서 투자 종목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수익률입니다. 최근 1년간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KODEX 미국S&P500이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다음으로 RISE가 0.08% 차이로 뒤를 이었고, ACE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음으로 기간을 더 늘려 3년 이상의 장기 수익률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여전히 KODEX 미국S&P500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장기 투자 관점에서 안정적인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2위와의 차이는 1년 차트와 더 벌어져 0.46%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코덱스와 에이스의 경우는 0.74%로 오래 투자하면 더 격차가 벌어지는 모습입니다.

실부담 비용 비교

S&P500 ETF 비용 비교

다음은 운용하는 데 드는 비용도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과거에는 국내 상품들의 실부담 비용이 상당히 높은 편이었으나, 최근 경쟁이 심화되면서 자산운용사들이 앞다퉈 비용을 낮추고 있습니다. 현재 RISE의 실부담 비용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ACE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반면, KODEX의 실부담 비용은 상대적으로 조금 더 높은 편입니다. 비용이 낮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투자할 때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므로 비용을 최소화하고 싶으신 투자자분들은 RISE 종목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추적 오차율 비교

S&P500 ETF 추정오차율 비교

모두 다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므로, 지수를 얼마나 정확하게 따라가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를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추적 오차율"입니다. 추적 오차율이 낮을수록 해당 종목이 기초지수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에이스의 추적 오차율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며 가장 정밀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라이즈도 낮은 편이지만, 코덱스는 상대적으로 추적 오차율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지수와의 괴리를 최소화하고 싶으신 분들은 ACE가 가장 적절한 선택이 되겠습니다.

마무리

미래에셋의 분배금 삭감 이슈로 인해 대안을 찾고 계신다면 KODEX, RISE, ACE의 미국S&P500 상품을 고려하실 수 있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수익률 관점에서는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도 KODEX가 더 안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비용 측면에서는 RISE가 가장 낮은 실부담 비용을 제공하여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 추적 오차율을 고려하면 ACE가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기초지수를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내 ETF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자산운용사들은 투자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더 나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큽니다. 시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면서, 자신의 투자 전략에 맞는 ETF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미국S&P500 ETF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S&P500 기반 주배당 ETF XDTE VOO와 주가 수익률 비교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월분배 ETF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주배당 상품들은 매주 분배금을 지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정기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는

trajectory.tistory.com

 

 

하나자산운용 1Q 미국S&P500 ETF 0026S0 출시 수수료 및 특징

다가오는 3월 18일, 하나자산운용에서 국내 최저 보수를 내세운 미국 S&P 500 ETF를 상장할 예정입니다. 해당 ETF는 "1Q 미국S&P500"이라는 종목명으로, 종목 코드는 0026S0입니다. 최근 국내 ETF 시장에서

trajectory.tistory.com

 

 

국내상장 미국 S&P500 ETF 일반 환헤지 비교 360750 379800 360200 379780 433330 449180 448290 453330

오늘은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중 최고의 종목을 선정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 ETF와 환헤지형 ETF 각각의 총 수수료, 시가총액, 거래량, 괴리율, 배당 지

trajec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