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국내 ETF

KODEX ACE RISE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ETF 주가 수익률 수수료 비교 379810 추천

by 그린망고 2025. 3. 29.
반응형

이전 글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ETF 상품을 제외하고, 국내에 상장된 미국 S&P500 ETF 상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나스닥 100 ETF를 중심으로 KODEX, RISE, ACE 그리고 SOL까지 네 개의 상품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자료는 국내에서 ETF 상품을 확인할 수 있는 'ETF CHECK'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나스닥 100 ETF 수익률 비교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ETF 1년 수익률 비교

투자할 종목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수익률입니다. 최근 1년 수익률을 살펴보면, KODEX가 18.67%로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하였습니다. 다음으로 RISE가 18.51%, ACE는 18.39%, SOL은 18.11%의 총수익률을 거뒀습니다. KODEX와 RISE의 1년 수익률차이는 0.16%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ETF 3년 수익률 비교

다음으로 기간을 더 늘려 3년 수익률을 살펴보겠습니다. SOL의 경우는 이제 상장한 지 1년이 지났기 때문에 함께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므로 제외하고 살펴보겠습니다. 1위는 역시 KODEX로 지난 3년 동안 63.61%의 수익을 안겨 주었습니다. 다음으로 ACE가 63.06%, RISE는 순위가 한 계단 내려서며 62.92%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1위와 2위의 차이는 0.55%로 오랜 시간 장기로 투자할 경우에는 수익률의 차이가 더욱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부담 비용 비교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ETF 3년 수수료 비교

다음은 실제로 투자자가 부담하는 실제 비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운용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은 총보수입니다. 이외에도 ETF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기타 비용이 발생하며 모든 비용을 합한 것을 실비용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2022년 2월까지만 하더라도 국내 ETF들의 실부담 비용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는데, 특히 KODEX의 비용이 상당히 높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경쟁이 심화되면서 자산운용사들이 비용을 낮추고 있으며, 현재 KODEX의 실부담 비용이 0.1820%이며 RISE와 비교했을 때 0.0002% 높은 수준입니다. SOL의 경우에는 다른 상품과 비교했을 때 3배 수준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지금 투자하기보다는 앞으로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추적 오차율 비교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ETF 3년 추척오차율 비교

추적 오차율은 해당 ETF가 기초지수를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기초지수와 ETF 가격 간의 괴리가 적을수록 투자자가 목표한 지수에 가까운 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 이 상품들 중에서 미국 나스닥100 지수를 잘 따라가는 것은 ACE이며 오차율은 0.12%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SOL 상품이지만 SOL의 경우 이미지를 보시면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어서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다음으로 RISE 0.25%, KODEX 0.4% 순입니다.

나스닥 100 ETF,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ETF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중에서는 KODEX 미국나스닥100 ETF가 수익률, 실부담 비용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나스닥 100 ETF를 선택하려는 투자자분은 KODEX 상품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ACE 미국나스닥100 상품도 장기 투자 시 수익률이나 추적오차율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강품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SOL 미국나스닥100은 순자산 규모와 거래량, 수수료에서 아직은 안정적이지 못한 모습입니다.

ETF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지금까지 코덱스, 라이즈, 에이스, 솔 미국나스닥100 상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네 개의 자산운용사에서 출시한 다양한 미국 상품을 비교하면서, 국내 투자자들들은 어떤 운용사의 브랜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나스닥 100 뿐만 아니라 모든 ETF를 선택할 때 아래 일곱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가총액(ETF의 규모와 안정성 거래량) – 원활한 매매 가능 여부 - 수익률(단기 및 장기 성과) - 실부담 비용 –  분배금(배당 지급 여부 및 수익성) - 추적 오차율(기초지수와의 괴리 정도 괴리율) – 시장 가격과 순자산가치(NAV)의 차이

마무리

시장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운용사들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ETF 상품의 조건과 성과를 점검하고, 시장 변화에 맞추어 전략을 조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국내 ETF 시장의 변화와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투자자분들은 신중하게 판단하시어 최적의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ETF 비교

 

 

 

 

국내상장 월배당 미국 나스닥 100 ETF 1월 분배금 및 수익률 비교 분석

이번 달은 1월 말에 설 연휴가 길게 있어서 월배당하는 종목들의 분배금이 빠르게 확정되었습니다. 월배당 ETF 인기 또한 점점 늘어 어느새 채권에 투자하는 종목들을 제외하고 주식에 투자하는

trajectory.tistory.com

 

 

국내상장 나스닥 ETF 중 최고의 상승률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426030

오늘은 국내 상장된 나스닥 ETF 중 최고의 성과를 기록한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ETF는 최근 1년 동안 75.18%의 총수익률을 기록하며, 비교지수인 나스닥 100 지수

trajectory.tistory.com

 

 

고배당 ETF 국내상장 미국나스닥100 커버드콜 비교 441680 486290 494300 491620

오늘은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기반으로 한 커버드콜 ETF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총 4가지 ETF가 상장되어 있으며, TIGER의 두 가지 상품, KODEX의 한 가지 상

trajec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