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국내 ETF

국내상장 미국 S&P500 ETF 일반 환헤지 비교 360750 379800 360200 379780 433330 449180 448290 453330

by 그린망고 2025. 2. 18.
반응형

오늘은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중 최고의 종목을 선정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 ETF와 환헤지형 ETF 각각의 총 수수료, 시가총액, 거래량, 괴리율, 배당 지급 내역, 그리고 총수익률 등을 살펴보며, 투자자들이 어떤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국내상장 SNP500 ETF 비교

일반 S&P500 ETF

국내 상장 일반 SNP 500 ETF 갯수
국내 상장 일반 SNP 500 ETF 수수료 비교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는 일반 S&P500 ETF가 총 9종목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 중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현저히 부족한 PLUS와 HANARO 상품 등은 제외하고 비교를 진행하겠습니다.

수수료 및 시가총액 비교

총수수료는 장기 투자 성과에 중요한 요소로, 작년 12월 31일 기준 금융투자협회 자료에 따르면, ACE(종목번호 360200)와 RISE(종목번호 379780) 상품의 총수수료가 각각 0.17%와 0.16%로 가장 저렴합니다. 총보수 외에도 기타 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를 포함한 정확한 비용은 금융투자협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시가총액을 확인해 보면 TIGER(종목번호 360750) 상품이 압도적으로 큰 규모를 보유하고 있으며, KODEX(종목번호 379800)와 ACE 역시 1조 원 이상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 투자할 때 시가총액이 천억 원 이상이면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으므로, 5개 모두 충분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괴리율과 배당 비교

괴리율 추적
구분 1월 24일 1월 31일 2월 3일 2월 4일 2월 5일
TIGER -0.03% 0.38% -1.94% -0.19% -0.38%
KODEX -0.08% 0.33% -1.96% 0.00% -0.41%
ACE -0.02% 0.34% -1.88% -0.17% -0.41%
RISE 0.00% 0.36% -1.85% -0.17% -0.41%
SOL -0.05% 0.38% -1.95% -0.19% -0.43%

다음은 괴리율입니다. 주당 순자산 가치와 주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괴리율은 미국 주식 투자 시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해당 ETF들은 모두 시가총액이 커서 큰 편차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최근 지급된 분배금
구분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5년 1월 25년 2월
TIGER   63원     65원     45원
KODEX                
ACE   60원     65원     65원
RISE 50원     50원     65원  
SOL 15원 11원 17원 12원 11원 18원 17원 11원

배당금(분배금)의 경우 타이거와 에이스 종목은 매년 2월, 5월, 8월, 11월에 분배금을 지급하며, 라이즈는 매년 1월, 4월, 7월, 10월에 분배금을 지급합니다. 솔 상품은 매달 배당금을 지급하고, 코덱스의 경우는 토탈리턴형에서 전환되어 그동안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자동 재투자되었지만 올해 5월에 첫 분배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총수익율 비교

국내 상장 일반 SNP 500 ETF 시가총액 비교
국내 상장 일반 SNP 500 ETF 총수익률 비교

이러한 지표들을 종합한 결과, 배당금 내역과 주가 변동을 반영한 총수익률에서는 토탈리턴형이었던 코덱스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으며, 그다음으로 타이거, 솔, 라이즈, 에이스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비교를 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 추종 ETF는 하루라도 빨리 투자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하루 단위의 소수점 차이로 연간 수익률이 다소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1년에서 2년 더 투자하면 자산은 더욱 불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 초기 계획을 세울 때는 낮은 수수료와 과거 성과가 우수한 종목을 우선 고려하고 예를 들어, 월배당을 선호하는 투자자라면 SOL 종목(종목번호 433330)을, 현재 시점에서 가장 저렴한 수수료를 원한다면 라이즈 브랜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수익률과 시가총액 측면에서는 타이거도 역시 무난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환헤지형 S&P500 ETF

국내 상장 환헤지형 SNP 500 ETF 갯수
국내 상장 환헤지형 SNP 500 ETF 수수료 비교

환헤지형 S&P500 ETF는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서도 원-달러 환율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국내 주식시장에는 총 5종목의 환헤지형 상품이 상장되어 있으며, 이 중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부족한 PLUS와 KIWOOM 상품은 제외하고 비교하겠습니다.

수수료 및 시가총액 비교

괴리율 추적
구분 1월 24일 1월 31일 2월 3일 2월 4일 2월 5일
KODEX 0.00% 0.33% -1.90% -0.21% -0.45%
TIGER -0.01% 0.29% -1.92% -0.15% -0.48%
RISE -0.06% 0.31% -1.92% -0.18% -0.44%

우선 장기투자 성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총수수료를 보면 코덱스(종목번호 449180)와 타이거 (종목번호 448290) 상품은 0.24%로 동일하고 라이즈 브랜드는 0.28%로 좀 더 높습니다. 그리고 시가총액도 코덱스와 타이거 종목은 서로 비슷한 수준이며 라이즈 상품의 경우 600억 원대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편은 아닙니다. 다음으로, 괴리율을 보면 세 상품 모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며 눈에 띄는 부분은 따로 없는 것 같습니다. 괴리율의 경우 일반형과 같은 날짜로 확인을 진행하였는데 일반이나 환헤지형 모두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분배 내역

최근 지급된 분배금
구분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5년 1월 25년 2월
KODEX   32원     34원     35원
TIGER                
RISE 16원 15원 15원 15원 16원 15원 15원 15원

그리고 최근 지급된 분배금 내역을 보면 코덱스는 매년 2월, 5월, 8월, 11월에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고 라이즈 종목(종목번호 453330)은 매달 분배금을 지급해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타이거의 경우는 토탈리턴형 환헤지 S&P500 ETF이기 때문에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아마 해당 종목도 분기 배당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뀌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국내 상장 환헤지형 SNP 500 ETF 시가총액 비교
국내 상장 환헤지형 SNP 500 ETF 총수익률 비교

마지막으로, 주가수익률과 누적분배율을 합한 총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토탈리턴형인 TIGER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KODEX, RISE 순서입니다. 최근 달러 가치가 원화 대비 많이 높아지면서 일반 S&P500 ETF는 같은 기간 동안 15% 대의 총수익률을 기록하였지만 (H) 종목들은 환헤지의 영향으로 환율차익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일반 S&P500보다 더 낮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입니다. 정리해 보자면 환율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투자하고 싶을 때 해당 상품들을 활용하시면 될 것 같고, 월배당을 받으면서 투자하고 싶으시다면 RISE 상품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가장 낮은 수수료를 원하신다면 KODEX 또는 TIGER 상품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때 TIGER 상품은 토탈리턴형 방식에서 어떻게 바뀔지는 아직 자료가 나오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마무리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를 선택할 때, 일반과 종목명에 (H)를 포함하는 환헤지형은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일반 ETF는 환율 차익이 포함되어 높은 총수익률을 보일 수 있으나, 투자 초기 주가와 시장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반면, 환헤지형 ETF는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지만, 규모나 거래량이 다소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총 수수료, 시가총액, 거래량, 배당 지급 내역, 괴리율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신의 투자 목표와 기간에 가장 적합한 ETF를 선택하면 됩니다. 앞으로도 최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투자자들이 보다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미국의 3대 주가지수 S&P500 지수 S&P 뜻은?

S&P500 지수를 열 글자로 표현한다면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다'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3대 주가지수인 S&P500에 대해 준비해 봤는데요. 전 세계인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지수며 워런 버핏

trajectory.tistory.com

 

 

뱅가드 S&P500 ETF VOO 배당금 배당률 순자산총액 추이

뱅가드의 S&P500 ETF인 VOO가 2024년 4분기 배당을 지급하였습니다. 이번 배당을 기준으로 배당금이 증가하고 있는지, 그리고 배당률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10만 달러를 투자하면 배

trajectory.tistory.com

 

 

국내상장 S&P500 커버드콜 ETF 482730 480030 494210 비교

커버드콜 ETF는 주식과 옵션을 결합하여 안정적인 배당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으로, 최근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대표 지수인 S&P 500을 기반으로 하는 커버드콜 ETF는

trajec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