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13F 보고서를 통해 유명한 헤지펀드 매니저인 데이비드 테퍼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데이비드 테퍼는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이름일 수 있지만, 그는 아팔루사 매니지먼트(Appaloosa Management)라는 헤지펀드를 운영하는 회장이며, 엄청난 자산을 보유한 인물입니다.
그의 재력은 단순히 투자 성과에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그가 미국 NFL 팀인 캐롤라이나 팬서스(Carolina Panthers)의 구단주라는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 구단을 인수할 정도의 재력을 갖춘 그의 투자 스타일은 일반적인 가치 투자와는 차별화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기회로 활용하는 대담한 전략으로 유명합니다. 또한, 그는 경제 및 금융 시장의 흐름을 누구보다 빠르게 읽어내며, 시기적절한 투자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해 왔습니다.
승부사로 불리는 이유
데이비드 테퍼가 시장에서 ‘승부사’로 불리는 이유는 그가 보이는 투자 방식 때문입니다. 그는 단순히 안정적인 종목을 찾아 장기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과감한 베팅을 통해 엄청난 수익을 올리는 전략을 구사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세계 1위라고 볼 수 있는 트레이더인 스탠리 드러켄밀러(Stanley Druckenmiller)가 했던 유명한 발언이 있습니다. 그는 “나는 이제 패밀리 오피스만 운영하는 겁쟁이가 됐고, 지금 이 시대의 진정한 승부사는 바로 데이비드 테퍼다”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는 데이비드 테퍼가 현재 시장에서 가장 공격적이고 대담한 투자자 중 한 명임을 보여주는 평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탠리 드러켄밀러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 13F 보고서로 보는 포트폴리오 TEVA
오늘은 전설적인 투자자인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최신 포트폴리오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그(Stanley Druckenmiller)의 회사(Duquesne Family Office)에서 제출한 13F 보고서를 바탕으로 신규 매수 및
trajectory.tistory.com
그가 ‘승부사’로 불리는 대표적인 투자 사례는 아르헨티나가 국가 부도를 맞은 이후 국채를 매입하여 큰 수익을 거두었으며 러시아가 파산했을 때는 국채를 매수하여 초기에는 큰 손실을 봤지만 포기하지 않고 다시 투자하여 막대한 수익을 실현했습니다. 또 2008년 금융위기 직후 리스크가 큰 은행주를 대거 매입하여 엄청난 이익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특히 러시아 국채 투자 사례는 데이비드 테퍼의 투자 철학을 잘 보여줍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본 종목에 다시 투자하는 것을 꺼리지만, 그는 시장을 분석한 후 다시 같은 포지션을 취했고, 결과적으로 손실을 회복하고도 남을 만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최신 포트폴리오
![]() |
![]() |
13F 보고서를 통해 데이빗 테퍼의 최신 포트폴리오를 분석해 보면, 그가 다음과 같은 종목들에 집중 투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력 회사 비스트라 코프(Vistra Corp), 전력 생산 및 판매 회사 엔알지 에너지(NRG Energy), 중국 관련 주식 이러한 종목들은 최근 데이빗 테퍼가 어떤 투자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밖에도 아마존과 메타, 오라클 등의 기술주를 일부 수익실현 하였습니다.
중국 주식에 강한 베팅
![]() |
그는 포트폴리오에서 중국 주식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이며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3년 9월, 미 연준(Fed)이 첫 금리 인하를 단행하자마자 중국 주식에 대한 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그가 중국 주식에 베팅한 이유는 명확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다음은 중국의 차례가 될 것이라고 본 것입니다. 그리고 마침 중국 정부가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발표하면서 주식시장이 급등했습니다. 특히 이번 부양책은 단순한 경제 지원이 아니라, 중국 정부가 직접 주식시장에 자금을 투입하는 형태였습니다. 데이빗 테퍼는 이 같은 정책을 보고 “나는 이 투자에 대해 헷지도 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중국 주식에 대한 확신을 드러냈습니다.
에너지 관련 주식
![]() |
데이빗 테퍼는 전력 생산 및 판매 기업인 비스트라 코프(Vistra Corp)와 엔알지 에너지(NRG Energy)를 대거 매수했습니다. 그가 이러한 에너지 기업들을 선택한 이유는 전력 수요 증가가 필연적인 시대적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그는 AI 기술의 발전이 에너지 소비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인프라 산업이 필수적인 투자처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AI 산업의 주요 기업들, 즉 M7(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엔비디아, 구글, 테슬라, 애플)에 대해서는 상당히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로 그는 엔비디아(NVIDIA)에 일찍 투자해 8~9배의 수익을 실현했지만, 작년에는 대부분의 엔비디아 주식을 정리했습니다. 하지만 AI 관련 기업이 고평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AI로 인해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그는 전력 인프라 관련 기업을 투자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마무리
데이비드 테퍼는 단순한 가치투자자가 아니라, 시장의 흐름을 누구보다 빠르게 읽고 과감한 베팅을 하는 투자자입니다. 결과적으로, 그는 여전히 거시경제 흐름을 반영한 적극적인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그의 투자 방향은 현재 글로벌 금융 시장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중요한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그의 투자 행보를 통해 우리는 유동성 장세에서의 투자 기회를 엿볼 수 있으며, AI와 에너지 산업의 향후 전망을 다시 한번 되새겨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그의 투자 움직임을 주목하면서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세스클라만과 바우포스트 그룹 13F 공시와 포트폴리오 QSR FERG SNRE
투자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어떤 종목을 사고파는지 궁금해하실 것입니다. 다행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13F 공
trajectory.tistory.com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통화 정책: 감세와 관세의 상관 관계 (0) | 2025.03.01 |
---|---|
세계 3대 투자자 조지 소로스의 2024년 4분기 13F 포트폴리오 SMH NBIS (0) | 2025.02.26 |
"베이비 버핏" 빌 애크먼과 퍼싱스퀘어 캐피탈 매니지먼트 13F BN NKE (0) | 2025.02.23 |
2025년 최신 증권사별 미국주식 거래수수료 및 환전수수료 이벤트 비교 (0) | 2025.02.22 |
마이클 버리 SCION ASSET MANAGEMENT 13F 보고서 HCA EL (1) | 2025.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