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워렌 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 13F 보고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티커STZ 신규매수

by 그린망고 2025. 2. 16.
반응형

오늘은 워런 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 변화를 중심으로 그의 투자 행보를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최근 버핏이 애플 주식 매도를 중단하고 은행주를 지속적으로 매도하는 가운데, 어떤 종목을 신규 매수했으며 어떤 종목을 정리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워렌 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

이번 글은 2024년 4분기 기준 13F 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자들이 워런 버핏의 투자 전략과 최신 동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비중확대 및 매수 종목

워렌 버핏 매수 종목
워렌 버핏 매도 종목

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에서 신규 매수한 종목들을 먼저 살펴보면, 이미지처럼 매수 종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도미노스 피자(DPZ), 베라사인(VRSN), 시리우스 XM 홀딩스(SIRI), 그리고 풀(POOL)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종목은 이미 잘 알려진 기업들이 대부분으로, 버핏은 이들에 대해 추가 매수를 진행하며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미노스 피자, 시리우스 XM, 풀은 오랜 기간 동안 버핏의 투자 리스트에 포함되어 왔으며, 배당 지급도 꾸준히 이루어지는 안정적인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매도 종목

반면, 버핏은 포트폴리오에서 매도한 종목들도 눈에 띕니다. 오른쪽에 이미지처럼 매도 종목 중에는 씨티그룹과 뱅크 오브 아메리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은행주가 최근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핏은 이러한 은행주를 지속적으로 정리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보고서에는 별도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VOO, SPY, ULTA와 같이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전량 매도한 사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들 ETF의 비중은 0.01%로 미미하지만, 매도 행위 자체가 투자자들에게 다소 찜찜한 인상을 남기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투자 전략

버핏 매수 종목

전체 포트폴리오를 보면, 매수보다 매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버핏이 여전히 현금을 충분히 비축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신규 매수 종목입니다. 버핏이 매수한 종목 5개 중 4개는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으로, 배당주를 선호하는 그의 투자 성향을 반영합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배당 성장률을 보면 15%를 넘어서는 종목이 3개나 되는 등, 배당 성장 측면에서도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에 신규로 매수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의 경우, 배당률은 2.48%에 불과하고 배당 성장률은 6.13%로 다소 아쉬운 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규모면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종목입니다.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코로나 맥주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주류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글로벌 주류 기업으로, 맥주, 와인, 증류주를 제조 및 유통하는 회사입니다. 대표 상품인 코로나 맥주는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미국 프리미엄 맥주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회사는 맥주 소비량이 58분기 연속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한편, 와인과 증류수 사업은 실적이 다소 부진한 편이지만, 프리미엄 및 럭셔리 라인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며 주주 환원 정책을 통해 자사주 매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물론, 경기 변동과 원자재 비용 상승 등 리스크 요소도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 전 이러한 점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주가 추이 및 배당 성장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주가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의 주가 차트를 보면, 최근 실적이 부진하게 나오면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밑돌아 주가가 급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핏은 이러한 실적 발표 전인 2024년 4분기에 이 종목을 매수했는데, 당시 예상 주가는 약 220달러였으나 현재는 162달러로 약 26% 하락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주가 하락 후 버핏이 매도했는지 아니면 추가 매수를 진행했는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어, 앞으로의 전략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13F 보고서를 통한 투자 전략 분석

워렌 버핏 13F 보고서 바로가기

이번 글은 2024년 4분기 기준 13F 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에서는 매수 종목과 매도 종목 모두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투자 대가의 최신 전략적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궁금해하는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 구성과 신규 매수 종목에 대해 이번 글에서 상세히 다루었습니다. 버핏이 배당을 지급하는 주요 종목들에 집중하면서도, 불필요한 자산은 과감히 매도하고 현금을 비축하는 전략은 그가 위험 관리에 얼마나 신중한지를 보여줍니다.

마무리

워런 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그는 기존에 보유한 은행주와 ETF를 정리하며 현금을 확보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규 매수한 종목 중에서는 도미노피자, 시리우스 XM, 풀과 같이 이미 검증된 배당 지급 종목들이 포함되어 있어,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와 같이 신규 매수한 종목에 대해서는 배당률과 성장률이 다소 낮은 점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이 글은 워런 버핏의 13F 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자들이 그의 최신 포트폴리오 변화를 통해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전략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정보를 통해 유익한 투자 전략을 제공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워렌 버핏도 주목한 미국단기채권과 BIL SGOV ETF 활용하기

미국 단기채 ETF는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T-Bills, 즉 단기 국채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T-Bills는 만기가 3개월 이하로 설정된 국채로, 미국 정부가 발행하고 보장하기 때문에 디폴트 위험이 거의

trajectory.tistory.com

 

 

워렌버핏 포트폴리오에서 배당 성장주 5가지 BAC AXP KO CVX MCO

미국 배당 성장주 중에서 워렌 버핏이 투자하고 있는 배당 성장주 5개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작년 4분기 기준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애플의 비중이 50%로 가장 높고 뱅크 오브 아메리

trajec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