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닷컴버블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금리인하 시 S&P500 배당주 배당성장주

by 그린망고 2024. 6. 27.
반응형

글로벌 시장지수인 S&P 500이 연일 신고가를 달성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성장주 실적이 워낙 좋다 보니, 금리 인하 이야기는 잠잠해졌습니다. 3월만 해도 금리 인하가 3번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6월이 된 지금은 금리 인하가 1번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금리인하 시 S&P500 주가는

금리 인하 시기 S&P500은 상승했을까?

이렇게 예측이 크게 바뀔 수 있다면 금리 예측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요? 예측이 바뀌는 이유는 고금리 시기에도 미국 기업들의 실적이 좋고 실업률이 낮아 경제가 활황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워런 버핏의 "환희에 팔고 공포에 사라"는 명언처럼, 언젠가 금리 인하가 오면 S&P 500은 어떻게 될까요? 어떤 주식을 사고팔아야 할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금리는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금리와 주식의 관계를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기업 비용이 줄어들고 소비자들도 더 많은 돈을 쓰게 되어 매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금리가 인상되면 비용이 증가하고 소비 여력이 줄어들어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면 금리 인하가 모든 기업 실적 상승을 의미할까요? 과거 금리 인하 시기를 통해 이 말이 맞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고금리 시기

현재를 제외하고 지난 20년 사이에 금리 고점이었던 시기는 총 3번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기술주 중심의 닷컴 버블로 인해 2000년 5월 기준금리가 6.5%까지 올랐고, 2006년 12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5.25%까지 상승했습니다. 2018년 12월에는 미중 무역전쟁과 글로벌 경제 둔화로 인해 금리가 2.25%까지 올랐고, 2023년 1월 이후 현재까지 5.5%에 머물러 있습니다. 앞선 경제 위기를 보면 고점 이후 급격한 금리 인하가 있었는데, 이러한 시기에 S&P 500과 배당주 및 배당성장주는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닷컴 버블 시기 이후

2003년 금리 인하 시기
주가와 금리

먼저 살펴볼 시기는 IT 버블 시기입니다. 2000년 5월 기준금리가 6.5% 고점을 찍고 2003년 6월 1%까지 급격한 금리 인하가 단행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때 시장을 대표하는 S&P 500은 어땠을까요? 금리 인하로 비용이 줄어들면 주가가 올랐을 거라는 생각도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정반대였습니다. 2000년 5월 150달러 하던 SPY는 2003년 6월 100달러까지 하락했으며, 무려 33%나 하락한 모습입니다. 같은 기간 동안 배당주는 어땠을까요? 월배당 리츠 기업인 리얼티 인컴을 보면 2001년 5월 대비 2003년 6월까지 70% 상승했습니다. 같은 기간 S&P 500이 33% 하락한 것에 비해 리얼티 인컴의 70% 상승은 놀라운 모습입니다.

2003년 spy 차트
2003년 리얼티인컴 스타벅스 차트

또 다른 예로 배당 성장주로 스타벅스를 들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최근 5년간 10% 배당 성장을 하고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기도 합니다. 스타벅스는 2001년 1월 대비 46% 상승했는데요. IT 버블 이후 금리 인하 시기에 배당주는 70%, 배당 성장주는 46% 상승했으며 S&P 500은 33% 하락했습니다. 배당주 대비 S&P 500이 이렇게까지 하락한 것은 당시 경제 상황을 이해해야 합니다. 금리 인하의 원인이 닷컴 버블 붕괴로 많은 기술주가 폐업했기 때문입니다. 경기 침체의 원인이 기술주인 만큼, 기술주 중심인 S&P 500의 큰 하락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2007년 금리 인하
2007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두 번째 금리 인하 시기는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주요 금융기관들이 파산하고 실업률이 급증하면서 경기 침체를 겪었던 시기입니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 연준은 다시 한번 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2007년 9월 5.25%였던 금리는 2008년 12월 0.25%까지 금리 인하가 되었습니다. 1년 3개월 만에 5% 금리가 빠진 것인데요. 현재 고금리 장기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지만, 경제 위기가 오면 급격한 금리 인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S&P 500 지수인 SPY는 150달러에서 90달러로 37%가량 하락했습니다. 성장주 중심인 S&P 500은 IT 버블 시기뿐만 아니라 리먼 브라더스 사태 때도 하락했습니다. 금리 인하 시기에 성장주 주가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리얼티 인컴은 IT 버블 때와 달리 24% 하락했습니다. 금리 인하로 비용이 줄어들면 리츠 섹터는 상승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경기 침체의 원인이 부동산이었기 때문에 주가가 힘을 받지 못했습니다.

2007년 spy 차트
2007년 리얼티인컴 스타벅스 차트

가장 충격적인 것은 이 시기 스타벅스가 65% 하락한 것입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당시 시음 테스트에서 저가 커피였던 맥도널드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결국 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한 것입니다. 사실 금리 인하가 기업의 차입 비용을 낮추고 소비를 촉진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성장주가 하락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금리 인하는 경제 둔화나 불황의 신호입니다. 지금 고금리가 장기화되는 이유는 미국 기업 실적이 좋고 실업률이 낮기 때문인 만큼, 금리가 인하되는 이유는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둘째, 실적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 때문입니다. 기술주와 성장주는 현재 실적보다 미래를 보고 투자하는 만큼 고평가 된 경우가 많습니다. 닷컴 버블 당시 많은 기술주들이 실적 대비 과도하게 평가되었기 때문에 시장이 조정을 받으면서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습니다. 현재 고금리가 1년 반 이상 지속되고 있는 상황인데, 고금리가 지속되는 경우 S&P 500 주가는 어땠을까요?

고금리 시기 S&P500

과거 주가를 보면 고금리가 유지된 기간 동안 대부분 S&P 500 주가는 상승했으며, 금리 인하 시기에 급격히 하락하다가 시장이 안정되었을 때 급격한 상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는 현재 상황과 유사합니다. 과거를 보며 현재 고금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배당주인 리얼티 인컴과 배당 성장주인 SCHD를 모아가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주식들은 금리 인하 시기에 빛을 발했습니다. 추가로 금리 인하 시기에 S&P 500이 빠진다면 그때 S&P 500과 함께 실적이 좋은 기술주와 성장주 중심으로 적립식 매수를 한다면 좋을 것입니다.

결론

오늘은 금리에 따라 성장주, 배당주, 배당 성장주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해 봤습니다. 최근 금리 인하가 계속 밀리면서 배당주와 배당 성장주에 대한 관심이 줄고 성장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피터 린치는 금리가 어떻게 될지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는 것은 의미 없는 행동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금리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파월도 예측할 수 없는 금리보다는 실적이 더 중요합니다. 당장의 금리를 예측하기보다는 빠른 시일 내에 오지 않더라도 언젠가는 올 금리 인하를 믿고 좋은 실적을 내는 기업을 찾아야 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CHD 슈드 지수로 보는 배당금 배당률 배당성장률

노후 준비를 위해 SCHD를 모으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한국에서는 편하게 '슈드'라고도 불리는 SCHD는 이미 많은 투자자들에게 익숙한 이름입니다. SCHD가 많은 사랑을 받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trajectory.tistory.com

 

 

ETF 진짜 가치 NAV 괴리율 INAV 유동성공급자제도 LP

여러분은 ETF를 사야겠다고 마음먹었을 때, 하루 중 언제 매수하시나요? 개장하자마자? 점심시간에? 아니면 장 마감 직전에? 앞으로는 ETF를 매매할 때는 장 막판에는 거래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

trajectory.tistory.com

 

 

종합부동산세(종부세) 폐지 심판청구 합헌 위헌 취소소송 다주택자 중과세율

최근 뉴스에 따르면 정부가 종합부동산세 폐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나 취득세 중과도 완화할 거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집 한 채 있는데, 왜 이렇게

trajector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