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국민연금의 지난 분기 F13 보고서를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는 "NATIONAL PENSION SERVICE"라고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NATIONAL PENSION SERVICE가 어떤 종목을 매수하고 매도했는지,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당연히 지난 분기 보고서 기준이니, 현재 상황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국민연금의 지분율 변경 현황
![]() |
![]() |
NATIONAL PENSION SERVICE의 지분율에는 일부 변화가 있었습니다. 지난 분기 13F 보고서를 살펴보면, 자산 규모가 총 1.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자 종목 수는 총 557개로 확인되었으며, 새롭게 매수한 종목은 46개, 반면 전량 매도한 종목은 7개였습니다. 국민연금이 투자한 종목들을 살펴보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전략적으로 매수 및 매도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요 보유 종목
보유한 주요 종목을 살펴보면, 상위 5개 종목은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PBUS, 아마존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들 종목은 모두 글로벌 빅테크 기업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들입니다. 특히 4위에 위치한 PBUS는 S&P 500 ETF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며, 미국 대형주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서학 개미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M7 종목들에 대한 차익 실현이 이루어졌으며, 국내 투자자들이 많이 매수하는 종목, 예를 들어 팔란티어 같은 종목을 대거 매수한 점이 눈에 띕니다. 팔란티어의 경우 무려 200만 주 가까이를 추가 매수하여 총 490만 4천 주까지 보유 물량을 확대하며 49위에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미국 시장 투자 성과
![]() |
![]() |
작년에 국민연금은 미국 시장에서만 2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운용을 이어갔습니다. 몇 년째 지속해서 미국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NATIONAL PENSION SERVICE가 선택한 종목들이 향후에도 좋은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투자자들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팔란티어의 경우 최근 주가가 급락했지만, 여전히 보유하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에도 큰 성공을 거둘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대거 매수
NATIONAL PENSION SERVICE는 팔란티어뿐만 아니라 슈퍼마이크로컴퓨터도 대량 매수했습니다. 무려 94만 주를 추가로 매수했으며, 이는 상당한 규모입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AI 데이터센터에 필수적인 스토리지, 서버 관리, 서버 판매 등을 담당하는 회사로, AI 열풍과 함께 주가가 급등한 종목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차별성과 시장에서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공격적으로 매수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빅테크 종목들의 지분 축소
![]() |
반면,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알파벳 등 빅테크 종목들은 지분을 축소한 모습입니다. 특히 애플은 78만 주를 매도했고, 엔비디아는 무려 119만 주(약 120만 주 가까이)를 줄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10만 주를 매도하며 M7 종목 전반적으로 비중을 줄이는 전략을 취했습니다. 이는 최근 미국 시장에서 M7 종목들의 주가 과열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과 맥을 같이합니다. 국민연금 역시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반영하여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전략 분석
NATIONAL PENSION SERVICE는 AI 관련 성장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그동안 급등했던 빅테크 주식에서 일부 차익을 실현하는 전략을 취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팔란티어와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대량 매수는 AI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반영한 것이며,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매도는 단기적인 차익 실현과 시장 리스크를 고려한 결정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투자 전략은 안정적인 운용 방식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AI 기술이 앞으로 더욱 발전하고 기업들이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AI 관련 종목에 집중 투자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향후 투자 방향
![]() |
앞으로 국민연금이 어떤 방향으로 투자를 이어갈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AI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경우, 팔란티어나 슈퍼마이크로컴퓨터와 같은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빅테크 종목들은 여전히 견고한 실적을 보이고 있지만,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차익 실현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투자 전략을 분석하는 것은 단순히 NATIONAL PENSION SERVICE의 포트폴리오를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시장의 흐름과 향후 전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13 보고서를 꾸준히 살펴보고 그들의 투자 전략을 참고하는 것은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입니다.
마무리

국민연금은 이번 분기 보고서를 통해 AI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빅테크 종목에 대한 차익 실현을 진행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현재 시장의 흐름과 맞물려 있으며, 향후에도 NATIONAL PENSION SERVICE의 투자 전략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 또 어떤 기업을 추가 매수하거나 매도할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투자 전략을 참고로 삼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향후 보고서를 통해 새로운 투자 방향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야 할 것입니다.
스탠리 드러켄밀러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 13F 보고서로 보는 포트폴리오 TEVA
오늘은 전설적인 투자자인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최신 포트폴리오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그(Stanley Druckenmiller)의 회사(Duquesne Family Office)에서 제출한 13F 보고서를 바탕으로 신규 매수 및
trajectory.tistory.com
최신 13F 보고서로 보는 레이달리오 포트폴리오 APP PYPL
최근 증시는 극심하게 양분된 의견으로 두가지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시장이 거품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AI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엄청난 상승장이 올 것이
trajectory.tistory.com
월가의 전설 켄 피셔 피셔인베스트먼트 13F 보고서 중기채권 IEF VCIT
지난 분기 13F 보고서를 살펴보면서 이번에는 긍정의 아이콘으로 잘 알려진 켄 피셔의 투자 동향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켄 피셔는 1979년 피셔 인베스트먼트를 설립하여 37년 동안 CEO로 재직했
trajectory.tistory.com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클 버리 SCION ASSET MANAGEMENT 13F 보고서 HCA EL (1) | 2025.02.22 |
---|---|
세스클라만과 바우포스트 그룹 13F 공시와 포트폴리오 QSR FERG SNRE (0) | 2025.02.21 |
월가의 전설 켄 피셔 피셔인베스트먼트 13F 보고서 중기채권 IEF VCIT (0) | 2025.02.19 |
최신 13F 보고서로 보는 레이달리오 포트폴리오 APP PYPL (0) | 2025.02.19 |
스탠리 드러켄밀러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 13F 보고서로 보는 포트폴리오 TEVA (0) | 2025.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