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국내 ETF

국내 상장 S&P500 ETF 나스닥 100 ETF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 총보수

by 그린망고 2024. 4. 19.
반응형

오늘은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수수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매달 바뀌는 총비용 때문에 많이 혼란스러우셨을 텐데요. 이제부터 수페 님의 ETF 연구소를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수수료를 비교할 ETF는 다음 세 가지입니다. 나스닥 100, S&P500, 미국 배당 다우존스입니다.

ETF 수수료 비교

ETF 총비용 = 총보수+ 기타비용 + 매매중개 수수료

처음에 ETF 총보수를 보고 수수료가 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지불하는 비용은 두 개가 더 있죠. 기타 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입니다. 세 개를 모두 합해야 우리가 지불하는 총비용입니다. 기타 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는 매달 바뀌고 별도로 찾아봐야 해서 번거로운데요. 수페님이 달마다 확인해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이달(4월)의 총비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TIGER, KBSTAR, ACE S&P500 ETF 총보수

국내 S&P500 ETF 총보수
국내 S&P500 ETF 총보수 변화

첫 번째는 S&P500 ETF입니다. 자산 규모가 큰 TIGER, KBSTAR, ACE를 비교할게요. 총보수만 보면 KBSTAR가 가장 작죠. 전체 비용을 모두 더해도 0.13%로 가장 저렴합니다. 그다음은 ACE S&P500으로 총비용이 0.16%이며 꼴찌는 TIGER S&P500으로 0.18%입니다. 지난달과 현재의 총비용은 어떻게 변했는지 비교해 볼게요. S&P500은 안정적인 구조라서 총비용의 변화가 크게 없지만, 작은 차이가 생겼는데요. TIGER와 KBSTAR가 0.01%씩 상승했습니다. 그래도 꾸준히 KBSTAR가 가장 저렴하게 나오고 있네요. 지금 S&P500 지수 추종 ETF 투자를 시작한다면, KBSTAR가 비용 측면에서 가장 매력적입니다.

S&P500(H) ETF 총보수

국내 S&P500(H) ETF 총보수
국내 국내 S&P500(H) 총보수 변화

추가로 헤지 상품도 비교해 볼게요. 일반 상품보다 0.2% 이상 총비용이 더 높은데요. 환율을 직접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가장 저렴한 곳은 KBSTAR로 0.29%이고, 그다음이 KODEX로 0.36%입니다. 총비용이 가장 높은 곳은 KOSEF로 0.53%입니다. 환 헤지 상품에 투자하고 있는 분들은 참고해 주세요. 지난달과 현재의 총비용은 어떻게 변했는지 비교해 볼게요. 환 헤지 상품은 전반적으로 비용이 감소했는데요.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인 곳은 KBSTAR로 0.05% 내렸습니다. 그다음은 KODEX로 0.04% 내렸네요. 여전히 KOSEF가 가장 비싸며 비용 절감 폭도 가장 적은데요. 0.01% 내렸습니다.

TIGER, KBSTAR, ACE 나스닥 100 ETF 총보수

국내 나스닥 100 ETF 총국내 보수
국내 나스닥 100 ETF 총보수 변화

다음은 나스닥 100 ETF입니다. TIGER, KBSTAR, ACE를 비교할게요. 총비용을 보면 역시 KBSTAR가 가장 낮은 0.18%입니다. 그다음 ACE가 0.2%고, 타이거가 0.23%입니다. KBSTAR와 TIGER의 총비용 차이가 0.005%인데요. 이 정도 차이로 운용사를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잘못 매매하면 더 큰 차이가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지난달과 현재의 총비용은 어떻게 변했는지 비교해 볼게요. 신기할 정도로 세 개 종목 모두 총비용 변화가 없었습니다. 모두 동일한데요. 현재 기준으로 나스닥 100을 매수한다면, KBSTAR가 가장 매력적입니다.

TIGER, ACE, SOL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 총보수

국내 미국 배당 다운존스 ETF 총보수
국내 미국 배당 다운존스 ETF 총보수 변화

마지막 세 번째는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입니다. TIGER가 가장 저렴하죠. 총비용이 0.18%입니다. 처음 상장할 때 자산 규모가 컸기 때문에 저렴하게 시작했는데요. SOL과 ACE도 규모가 커지면서 총비용이 조금씩 내려가고 있습니다. 좋은 현상입니다. 이제 차이가 0.02%밖에 되지 않는데요. 조만간 역전도 일어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지난달과 현재의 총비용은 어떻게 변했는지 비교해 볼게요. 재미난 모습이 포착됐는데요. 가장 저렴했던 타이거는 0.04% 올랐고, ACE와 SOL은 0.02%씩 올랐습니다. 비용 변화가 두 배나 차이가 나죠. 아쉽게도 이번 달에는 세 종목 모두 비용이 올랐습니다. 그리고 세 개 종목의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데요. 앞에서 봤듯이 S&P500과 나스닥 100처럼 총비용이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질 것 같습니다.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업데이트해 드릴게요.

총비용 Q&A

총비용 관련해 궁금해하시는 내용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첫 번째 질문은요, TIGER로 넣고 있는데, KBSTAR로 갈아타야 하나요? TIGER를 두고 새로 KBSTAR로 다시 넣어야 할까요?인데요. S&P500은 수수료 차이가 0.05%로 적기 때문에 굳이 갈아타지 않으셔도 됩니다. 매도 후 재매수하다 오히려 더 비싸게 구매하실 수 있으니 유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새롭게 투자를 진행하신다면 총보수가 저렴한 종목으로 시작하세요. 두 번째는 처음 계좌 개설하는데 수수료가 제일 낮은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유리한가요?인데요. 답변부터 말씀드리면, 네 맞습니다. 수페 님이 ETF랩을 만든 이유가 여기에 있는데요. 오늘 같은 정보를 보고 저렴한 수수료 및 건강한 투자를 이어가시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국내 상장 해외 ETF 수수료를 비교했습니다. 모든 내용은 수페 님의 ETF랩에서 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소는 다음과 같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E-7Djd-nFhI&list=LL&index=4&t=176s ETF 관련해 궁금하신 게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페 님이 선정하여 찾아보고 분석해서 쉽게 알려드립니다. 지금까지 ETF 연구소장 수페 님의 분석이었습니다.

 

 

 

미성년 자녀에게 연금저축펀드를 만들어준 이유와 개설방법

미성년 자녀가 있으세요? 제 자녀는 초등학생이고, 최근에 연금저축펀드를 개설해 주었습니다. 아직 어린 자녀에게 연금저축펀드를 개설해 준 이유와 개설 절차에 관해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thesea76.tistory.com

 

 

근로자 퇴직금 DB형 퇴직연금 DC형 퇴직연금 IRP

직장인들이 관리하는 자산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의 자산이 뭘까요? 다들 아시겠지만 퇴직금입니다. 근로자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퇴직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thesea7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