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미국 나스닥 지수가 힘을 쓰지 못하는 가운데, 홍콩 항생테크 지수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1월부터 항생테크 지수는 30%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항생테크 지수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주요 기술주 30개 종목을 포함한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지수입니다.
특히, 이번 상승세에는 SMIC와 알리바바의 영향이 컸습니다. SMIC는 중국의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대만의 TSMC와 유사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SMIC의 주가는 올해 들어 70% 상승했으며, 알리바바 역시 68%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중국의 대표적인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BYD)도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중국 증시 강세 요인
중국 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중국 정부의 친기업적인 정책입니다. 최근 시진핑 주석이 주요 기술 기업의 리더들과 회동을 가지면서 기술 지원 계획을 발표하였고, 이를 통해 정부가 기업 성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을 시장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또한, 예상보다 미국의 대중 관세 정책이 실효성 부분의 영향도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지속된 중국 정부의 재정 정책과 내수 활성화 정책 역시 중국 경제 부흥에 힘을 보태고 있으며, 올해 초 글로벌 시장을 뒤흔든 AI(인공지능) 붐도 중국 기술주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
중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도 있지만, 외국인 투자자가 중국 본토 증권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ETF를 활용한 간접 투자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내에서 접근하기 쉬운 대표적인 중국 관련 ETF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테크 중심 ETF CQQQ
중국 테크 섹터에 집중된 ETF로,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을 대표하는 IT 기업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최근 강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KTEC & KWEB
두 ETF 모두 중국 테크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특히 KWEB는 인터넷 및 전자상거래 기업 중심의 ETF로,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메이투안 등의 기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CQQQ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IT 기업 성장성을 보고 투자하는 분들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대형주 및 안정적인 ETF FXI
FIX는 중국 대형주 중심의 ETF로, 금융, 에너지, 산업재 기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IT 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중국 국유기업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중국 경제가 회복될 경우 가장 안정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ASHR
ASHR은 중국 본토 우량 종목인 CSI 3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CSI 300은 상하이와 선전 증시에 상장된 300대 우량주로 구성된 지수이며, 위안화로 거래되는 A주 종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는 직접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ASHR을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중국 경제의 핵심 기업들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중국 전체 시장을 추종하는 ETF MCHI
중국 전체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ETF로, 대형주부터 중형주까지 다양한 종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정 산업이 아닌 중국 경제 전반에 투자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 투자에 적합한 ETF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ETF를 활용한 간편한 투자 방법
앞서 소개한 ETF들은 모두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을 매매하듯이 MTS(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로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증권사에서 중국 시장을 추종하는 한국 ETF를 매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ETF를 활용하면 중국 증시에 직접 투자하지 않아도 간접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중국 증시의 전망과 유의점
중국 주식은 일정한 주기로 강한 상승장이 찾아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2014년과 2018년에도 급등한 후 조정을 받았던 사례가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은 미국 나스닥이 급등하면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중국이 다시 재평가받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 지원과 경제 회복 기대감이 주가 상승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중국 증시는 정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미국과의 관계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을 노리기보다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투자 성향에 맞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중국 증시는 최근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내수 활성화 정책, AI 산업 성장 등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변동성이 큰 시장인 만큼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직접 투자보다는 ETF를 활용한 간접 투자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방법일 수 있으며,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중국 증시의 흐름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적절한 투자 기회를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미국에 상장된 중국판 SPY FXI ETF
지난 글에서는 중국 전체 시장을 추적하는 토털마켓 ETF를 소개했는데, 이번에는 중국 대표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iShares Trust China Large Cap ETF(FXI)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FXI는 미국에 상장된 중국
trajectory.tistory.com
미국에 상장된 중국 토탈마켓 ETF MCHI GXC 특징 수수료
중국 정부가 최근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선보이면서 중국 관련 투자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 상장된 중국 ETF는 중국 경제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효과적인
trajectory.tistory.com
TIGER 중국소비테마 ETF 종목구성 수수료 배당금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
최근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ETF가 있습니다. 바로 TIGER 중국소비테마 ETF입니다. 높은 분배금을 자랑하는 월배당 ETF들 속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
trajectory.tistory.com
'투자 공부 > 해외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월배당 배당성장 필수소비재 ETF VSDA (0) | 2025.03.14 |
---|---|
S&P500 평균수익률 초과 하락장에서도 강한 CGDV ETF 추천 (0) | 2025.03.14 |
일드맥스 ETF TSLY 테슬리 CONY 코니 상장폐지 가능성은? (1) | 2025.03.10 |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고배당주 투자 LVHI ETF (1) | 2025.03.09 |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저평가된 종목에 투자 터치스톤 TLCI ETF (0) | 2025.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