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P500 ETF 수수료3

2024년 VOO 월배당 ETF 비교 SPYI ISPY SPYT GPIX 그리고 JEPI 2024년을 마무리하며 미국 증시에 상장된 S&P 500 기반 월배당 ETF 5가지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오늘 살펴볼 ETF는 SPYI, ISPY, SPYT, GPIX, 그리고 JEPI입니다. 각 ETF는 운영 방식, 종목 구성, 수수료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2024년 시장에서 주목받은 ETF들입니다.JEPI의 경우 S&P 500 지수를 정확히 추종하지는 않지만, 많은 분들이 월배당을 목표로 투자하는 대표적인 ETF로서 이번 비교에 포함시켰습니다. JEPI를 제외하고 나머지 종목의 공통점은 S&P 500 지수에 포함된 종목을 매수하면서 동시에 옵션 거래를 병행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세부 전략에서는 ETF마다 차이가 있어 이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총수익률 비교최근 6개월 수익률을 기준으로.. 2025. 1. 4.
국내 상장 S&P500 ETF 나스닥 100 ETF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 총보수 오늘은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수수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매달 바뀌는 총비용 때문에 많이 혼란스러우셨을 텐데요. 이제부터 수페 님의 ETF 연구소를 통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수수료를 비교할 ETF는 다음 세 가지입니다. 나스닥 100, S&P500, 미국 배당 다우존스입니다. ETF 총비용 = 총보수+ 기타비용 + 매매중개 수수료 처음에 ETF 총보수를 보고 수수료가 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지불하는 비용은 두 개가 더 있죠. 기타 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입니다. 세 개를 모두 합해야 우리가 지불하는 총비용입니다. 기타 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는 매달 바뀌고 별도로 찾아봐야 해서 번거로운데요. 수페님이 달마다 확인해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이달(4월)의 총비.. 2024. 4. 19.
국내 S&P500 ETF 국내 나스닥100 ETF 9개 자산운용사 총비용 비교 SPY와 QQQ는 S&P 500과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두 ETF 모두 미국 증시에 상장돼 있고요. 한국에도 당연히 미국의 두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있는데요. 한 가지 조심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총비용이죠. 무슨 말이냐면 미국의 경우에는 자산운용사들이 ETF의 총비용을 의무적으로 표시해야만 합니다. 미국 ETF와 국내 ETF 총보수 총보수 = 보수율 + 기타비용 + 매매·중개 수수료율 이런저런 비용을 몽땅 합쳐서 연간 얼마의 비용이 드는지 투자하는 고객들에게 알려야 하는 거죠. 또 해당 정보는 ETF 홈페이지만 들어가도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증시에서는 이 총비용을 확인하려면 조금은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요. 왜냐하면, 자산운용사들이 소.. 2024. 4.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