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금소득세3 연금저축펀드 해지나 중도인출하면? 연금개시 전후 인출 순서 연금소득세 연금저축펀드를 해지하면 세금을 더 많이 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많이 제기됩니다. 또는 “나는 목돈이 들어갈 일이 많은데 가입하면 55세까지 해지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질문도 자주 듣습니다. 많은 분들이 연금저축펀드 해지나 중도인출로 인해 세금 폭탄을 맞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연금저축펀드 계좌 연금개시 여부구분세액공제여부인출 우선순위혜택인출시 적용세율비고55세 이전(연금 개시 전)납입원금X1순위-세금 없음 O2순위납입원금의 16.5%~13.2%기타소득으로세율 16.5%기타소득으로 과세분리과세로 종결운용수익해당없음-분배금(배당금)해당없음비과세55세 이후(연금 개시 후)납입원금X1순위-세금 없음 O2순위.. 2024. 10. 19. 국내 해외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 배당소득세 증권거래세 등 세금 정리 주식형 ETF에 대한 세금 부분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ETF에 관련된 과세문제는 예상보다 꽤 복잡한데요. 국내 ETF, 해외 ETF,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등 다양한 유형이 있고, 연금 계좌 여부에 따라서도 세금 정책이 달라집니다. 또한 매도 시에는 분배금과 매매 차익에 대한 과세 방법도 각각 다릅니다. 지금부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국내주식형 ETF, 해외주식형 ETF,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 국내 주식형 ETF 해외 주식형 ETF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ETF KODEX 200 ARIRANG 고배당주 TIGER 200 SPY SCHD QQQ TIGER 미국S&P500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KODEX 미국나스닥100(H) 지금부터 설명할 ETF는 주식형 ETF입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2024. 3. 25. 채권과 채권ETF ISA와 연금계좌 매매 차이 연금소득세 이자소득세 안녕하세요. 요즘 채권과 채권 ETF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래서 ISA 계좌에서 매수할 때와 개인연금저축 혹은 IRP에서 매수할 때 차이점을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채권 매매차익 비과세 IRP 계좌를 이용하여 채권에 투자하는 방법은 직접 국채나 한전채와 같은 개별 채권을 매수하거나, 채권형 펀드나 ETF를 매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금 측면에서 연금 계좌가 유리하지만, 채권은 조금 다릅니다. 연금 계좌에서 수익이 발생했을 경우, 지금 바로 세금을 내지 않고 연금을 받을 때 낮은 세율의 연금 소득세를 납부하는데, 이를 과세이연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과세이연 효과는 연금 계좌의 큰 장점 중 하나이지만, 일반 계좌에서도 채권 매매 차익은 비과세입니다. 따라서 연금 계좌는 매.. 2024. 3. 2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