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동물과 관련된 경제 용어 불마켓 베어마켓 회색코뿔소 메기효과 왝더독

by 그린망고 2025. 2. 1.
반응형

경제 용어 중에는 동물에서 유래한 표현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복잡한 경제 현상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며, 뉴스나 시장분석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동물을 활용한 비유는 경제의 다양한 측면을 쉽게 설명할 뿐만 아니라, 기억하기도 쉬워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옵니다.

동물과 관련된 경제 용어

이 글에서는 동물과 관련된 경제 용어들을 모아서 그 의미와 유래, 그리고 실제 경제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불마켓(Bull Market)과 베어마켓(Bear Market)

불마켓 베어마켓

불마켓(황소 시장)은 주식 시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강세장을 의미합니다. 황소가 뿔로 위로 치켜드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 용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시장 분위기를 상징합니다. 불마켓에서는 주가가 꾸준히 오르고, 투자자들의 심리가 낙관적이며, 경제 성장과 기업 실적이 호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베어마켓(곰 시장)은 주식 시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약세장을 뜻합니다. 곰이 앞발로 내리치는 모습에서 비롯된 이 용어는 투자자들에게 조심스러운 시장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베어마켓에서는 주가가 하락하고, 투자자들의 심리가 비관적이며, 경제 성장이 둔화되거나 기업 실적이 부진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두 용어는 1900년대 초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황소와 곰의 싸움이 스포츠로 인기를 끌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황소와 곰의 공격적인 모습이 주식 시장의 등락을 상징하는 데 적합하다고 여겨져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비둘기파(Dove)와 매파(Hawk)

비둘기파는 통화 정책에서 완화론자를 지칭합니다. 기준금리 인하와 통화 공급 확대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입장을 나타냅니다. 비둘기파는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나 디플레이션 위험이 있을 때 적극적으로 통화 정책을 완화하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합니다. 반면, 매파는 통화 정책에서 긴축론자를 의미합니다. 기준금리 인상과 통화 긴축을 통해 물가 상승과 경제 과열을 막으려는 입장입니다. 매파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을 때 통화 정책을 긴축하여 물가 안정을 도모합니다. 이 용어들은 1960년대 베트남전 당시 강경파(매)와 온건파(비둘기)를 구분하던 외교 정책에서 유래했습니다. 이후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방향을 설명하는 데에도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블랙스완(Black Swan)과 회색 코뿔소(Grey Rhino)

블랙스완
회색 코뿔소

블랙스완(검은 백조)은 발생 가능성이 극히 낮아 보이지만, 일단 발생하면 엄청난 충격을 주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1697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검은 백조가 발견된 데서 유래한 이 용어는 예측 불가능한 위기를 상징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나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있습니다. 반면, 회색 코뿔소는 충분히 예측 가능하지만 방치된 위험 요인을 의미합니다. 코뿔소가 멀리서부터 달려오는 모습처럼, 위험이 눈에 보이지만 대비하지 않아 큰 피해를 입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기후 변화, 고령화 사회, 부채 증가 등이 있습니다.

메기 효과(Catfish Effect)

정어리와 메기
건전한 경쟁을 촉진하면

메기 효과는 강력한 경쟁자의 등장으로 기존 기업들이 더 강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북유럽 어부들이 정어리를 싱싱하게 유지하기 위해 어항에 메기를 넣던 관행에서 유래한 이 용어는 시장에서 경쟁이 활성화되면 전체적인 품질과 혁신이 촉진된다는 것을 상징합니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 강력한 경쟁자가 진입하면 기존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기술 개발과 서비스 개선에 더욱 힘쓰게 됩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카피캣(Copycat)

카피캣은 독창성 없이 남의 아이디어나 제품을 모방하는 기업이나 개인을 비하하는 표현입니다. 중세 유럽에서 고양이를 경멸하는 의미로 사용하던 데서 유래한 이 용어는 최근 중국 기업들이 카피캣에서 벗어나 기술력을 키우는 사례도 많아지면서 새로운 의미를 얻고 있습니다. 카피캣 전략은 초기에는 비용 절감과 빠른 시장 진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가치와 혁신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카피캣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유니콘(Unicorn)

유니콘
데카론 헥토콘

유니콘은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 원)를 넘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합니다. 신화 속 동물인 유니콘처럼 현실에서 보기 드문 존재라는 의미에서 유래했습니다. 유니콘 기업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로 빠르게 성장하며,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습니다. 유니콘의 다음 단계로는 데카콘(100억 달러)과 헥토콘(1,000억 달러)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으로는 우버(Uber), 에어비앤비(Airbnb), 스페이스 X(SpaceX) 등이 있습니다.

왝 더독(Wag the Dog)

왝더독
선물과 현물

왝더독이라는 용어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우리말로 번역하면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는 뜻입니다. 증시에서 선물시장이 현물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하는데 투자심리가 위축된 약세장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원래 주식시장에선 현물이 몸통, 선물이 꼬리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물이라는 게 현물거래의 위험을 줄일 목적으로 고안된 파생상품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선물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현물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일도 가능해졌는데요. 선물과 현물의 가격차만 이용을 해도 돈을 벌 수 있어서입니다. 선물이 현물보다 쌀 때는 선물은 사고 현물을 파는 이런 수요가 늘어나게 되고 이렇게 되면 현물 시장에서 매도 물량이 쏟아져서 주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선물이 현물보다 더 비싸다면 현물주식을 사려는 수요가 늘어서 주가를 밀어 올릴 수도 있겠죠. 이런 관계가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일로 연결되는 겁니다. 

마무리

동물에서 유래한 경제 용어들은 복잡한 경제 현상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불마켓과 베어마켓, 비둘기파와 매파, 블랙스완과 회색 코뿔소 등은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입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이해하면 경제 시장의 흐름과 정책 방향을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제는 단순히 숫자와 그래프로만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심리와 행동, 그리고 자연 현상에서 비롯된 다양한 비유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동물과 관련된 경제 용어들은 경제를 더욱 생동감 있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증권사별 유형별 CMA 계좌 금리 비교

CMA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설명드렸으니, 이제는 증권사별로 CMA 금리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금리의 경우 기준금리가 변동할 때마다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2024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정리한 자료

trajectory.tistory.com

 

 

삼성증권 mPOP 모바일 앱으로 ISA 계좌 만기 해지하기

ISA 계좌는 의무 보유 기간이 3년입니다. 3년이 지나면 언제 해지를 해도 세금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삼성증권 모바일 앱(MPOP)을 통해 ISA 계좌를 만기 해지하는 절차를 상세히 알

trajectory.tistory.com

 

 

키움증권 영웅문S# 비대면으로 자녀주식계좌개설 미성년자녀 계좌개설하기

미성년 자녀의 계좌를 개설하는 과정이 점점 더 간단하고 편리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부모님은 자녀의 계좌 개설을 위해 직접 은행이나 증권사 영업점을 방문할 필요가 없습니다. 키움증권에서

trajec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