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TDF ETF 라인업을 강화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각 운용사의 전략과 상품 특성을 비교 분석해보고, 장기 투자자 관점에서 어떤 선택이 현명한지 알아봅니다.
TDF ETF란 무엇인가요?
TDF는 'Target Date Fund', 즉 타겟 데이트 펀드의 약자로, 은퇴 시점을 기준으로 자산을 자동 조정하는 장기 투자 상품입니다. 이름에 포함된 연도는 투자자의 은퇴 목표 시점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TDF 2050은 2050년을 은퇴 시점으로 삼는 이들을 위한 펀드입니다. 은퇴가 멀리 남았을 때는 주식 등 위험 자산 비중이 높고,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채권 등 안전 자산 비중이 커지는 구조입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TDF 구조에 ETF의 유동성과 간편성을 더한 ‘TDF ETF’가 대안 투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으면서도 장기적인 포트폴리오 조절이 자동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은퇴 준비용 투자로 적합합니다.
![]() |
삼성자산운용 – 보수적인 글라이드 패스로 안정성 강조
삼성자산운용은 ‘KODEX TDF 액티브’ 시리즈를 통해 2030부터 2050까지 3개 빈티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글라이드 패스는 비교적 보수적인 전략을 채택해, 은퇴 시점이 다가올수록 주식 비중을 빠르게 줄이는 방식입니다.
글로벌 주식과 채권에 분산 투자하며, 삼성 글로벌 펀드에 재간접 투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KODEX TDF 2050 액티브’는 2025년 기준 14.11%의 1년 수익률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총 보수는 연 0.3%입니다.
하나자산운용 – 실물 자산까지 포함한 광범위한 포트폴리오
하나자산운용은 2030, 2040, 2050, 2060 빈티지로 총 4개의 TDF ETF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글라이드 패스는 삼성과 유사한 보수적 성향이며, 글로벌 주식·채권은 물론 실물 자산까지 포함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재간접 방식으로 펀드에 투자하며, ‘TDF 2060 액티브’는 최근 1년 기준 13.65%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한 운용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
KB자산운용 – 초저보수 전략으로 장기 수익률 극대화
KB자산운용은 ‘RISE TDF 액티브 ETF’를 통해 2030, 2040, 2050 빈티지를 운영 중입니다. 중간 수준의 공격성을 띤 글라이드 패스를 활용하며, 투자자의 연령에 따라 자산 비중을 조정합니다.
특히 연 0.01%의 낮은 보수는 국내 TDF ETF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장기 투자에 유리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입니다. ‘RISE TDF 2050’은 주식 비중이 높고, ‘RISE TDF 2030’은 채권 비중을 높여 안정성을 강조합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 – 금 투자 전략으로 변동성 대응
한국투자신탁운용은 ‘ACE TDF 2050 액티브’를 상장하며 TDF ETF 시장에 참여했습니다. 상장 이후 꾸준한 순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글라이드 패스와 LTCMA 기반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특히 금 투자 비중을 조정해 해외 주식의 변동성에 대응하며, 자사 ETF를 적극 활용하는 점도 특징입니다. 보수가 낮고 운용 효율이 높아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
미래에셋자산운용 – 실물 자산 직접 운용으로 이중 보수 해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TIGER TDF 2045’를 출시하며 패시브형 TDF ETF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이 상품은 미국의 대표지수인 S&P 500에 직접 투자하는 구조로, 일반적인 재간접 ETF와는 차별화됩니다.
ETF 편입 방식이 아닌 실물 주식을 직접 운용함으로써 이중 보수 문제를 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수익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비용 효율을 중요하게 여기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마무리
TDF ETF는 기본적으로 은퇴 시점을 목표로 장기적으로 운용되는 상품이므로, 수익률뿐 아니라 자산 구성, 운용 방식, 보수, 펀드 규모, 리밸런싱 전략 등 여러 요소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운용사마다 전략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수익률만 볼 것이 아니라 자신의 투자 성향과 라이프 플랜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TDF ETF는 한 번 매수하면 오랫동안 가져가는 상품이므로, 자신에게 맞는 구조와 전략을 충분히 이해하고 꾸준히 들고 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ACE TDF ETF TDF2030액티브(0021D0) 장기자산배분액티브(0021C0)
최근에는 다양한 TDF가 출시되면서 투자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졌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요소이지만, 동시에 어떤 TDF를 선택해야 할지 결정하기가 더욱 어려워진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상황에
trajectory.tistory.com
신한마음편한TDF2025 운용성과 전략 장점
대표적인 연금솔루션 투자상품으로 타깃 데이트 펀드(TDF)가 있습니다. TDF는 목표로 하는 은퇴 시점을 정해두고 이에 맞춰서 위험 자산과 안전 자산의 비중을 조절하여 운용되는 글로벌 자산배
trajectory.tistory.com
IRP 안전자산 ETF KODEX ARIRANG KBSTAR 히어로즈 TDF 수익률비교
오늘은 내 퇴직연금 수익률을 올려줄 아주 특별한 ETF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 하는데요. 해당 ETF는 안전자산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이상하게도 주식 비중이 무려 70% 이상입니다. 이것은 바로 TDF인
trajectory.tistory.com
'투자 공부 > 국내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률·비용 다 잡은 파킹형 ETF TOP 19 비교 수익률은 RISE 머니마켓액티브 (0) | 2025.04.28 |
---|---|
RISE 미국천연가스밸류체인 ETF란? 종목코드 0036Z0 특징 수수료 등 (1) | 2025.04.26 |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 0036R0 AI 다음으로 주목해야 할 섹터 (2) | 2025.04.15 |
ETF 추천 Kodex 미국ETF산업Top10Indxx 428560 주가 종목구성 분석 (0) | 2025.04.14 |
파킹 금리 ETF란 무엇인가? 특징과 장점 종류를 알아보자 (2)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