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은 국내 증권사 최초로 다이렉트 인덱싱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기존의 투자 방식을 뛰어넘어, 사용자가 자신만의 지수를 만들어 그 지수를 따라 투자를 하는 방식입니다. 다이렉트 인덱싱은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주며,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반영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보면 몇몇 종목은 빼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종목은 빼고 투자할 수 없나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 텐데 이제 방법이 생겼습니다. 지수를 따라가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조금 더 수월해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이렉트 인덱싱이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고, 어떤 장점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다이렉트인덱싱이란?
다이렉트 인덱싱은 시장 기초 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투자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투자 서비스입니다. 기존의 인덱스 투자에서는 특정 지수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다이렉트 인덱싱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지수를 만들고, 그 지수에 포함된 종목들로 직접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시장 지수에 포함된 종목을 선택하여 투자하거나, 더 나아가 자신이 원하는 특정 조건에 맞는 종목들을 선별하여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200, 코스닥 지수와 같은 유명한 시장 지수를 그대로 따라갈 수도 있지만, 자신만의 철학에 맞는 새로운 지수를 만들어 그 지수를 추종하는 인데스 ETF처럼 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렉트 인덱싱은 이러한 맞춤형 투자의 가능성을 열어주며, 그만큼 투자자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투자 전략을 제공합니다.
다이렉트 인덱싱 사용법
![]() |
![]() |
![]() |
![]() |
NH투자증권 다이렉트 인덱싱을 사용하려면 먼저 NH투자증권의 앱을 열고, 상단에 위치한 전체 메뉴에서 ‘상품’을 선택합니다. 그 후 ‘다이렉트 인덱싱’과 ‘내 지수 만들기’ 옵션을 선택하면, 자신만의 지수를 만들기 위한 첫 단추를 끊게 됩니다. 이때 사용자는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기초 지수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NH투자증권에서 제공하는 ‘아이셀렉트’ 지수와 같은 독창적인 지수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기초 지수를 선택한 후, 그 지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지수의 종목 비중을 조정하거나, 좋아하는 테마와 업종, 개별 종목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등 자유롭게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비중 조정과 커스터마이징
![]() |
![]() |
![]() |
![]() |
다이렉트 인덱싱의 핵심은 바로 종목의 비중을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수 내에서 종목 비중을 플러스, 마이너스 버튼을 통해 직접 조정할 수 있으며, 개별 종목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투자하고자 하는 시장 지수나 특정 산업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종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초 지수 외에 다른 지수를 추가하여 포트폴리오를 다채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서는 예를 들어, 기초 지수에 다른 지수를 조합하여 비중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테마와 업종에 맞춰 종목들을 조합하거나, 개별 종목과 특정 지수의 비중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만의 철학에 맞는 투자 전략을 인덱스로 만들 수 있습니다.
조건 검색을 통한 맞춤형 종목
![]() |
![]() |
![]() |
![]() |
다이렉트 인덱싱의 또 다른 큰 장점은 조건 검색 기능을 통해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용자는 원하는 시장 및 업종을 선택하여 종목 풀을 만들고, 그 안에서 시가총액, PBR(주가순자산비율) 등 다양한 투자 지표를 기반으로 종목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평가된 가치주를 선호하는 투자자는 ‘저평가 가치주’와 같은 유명한 전략을 한 번에 적용하여 종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건 검색을 통해 추가적인 조건들을 순위 기준, % 기준, 값 기준으로 설정하여 더 세밀한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 투자자는 보다 전략적이고, 정교한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리밸런싱으로 포트폴리오 관리
![]() |
![]() |
![]() |
![]() |
여기까지 하시면 이제 리밸런싱에 대한 설정이 나옵니다. 포트폴리오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초기 설정한 비중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다이렉트 인덱싱에서는 ‘리밸런싱’ 기능을 제공하여 비중을 재조정할 수 있습니다. 리밸런싱 주기는 1개월에서 1년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맞춰 비중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개월마다 리밸런싱을 진행하여, 초기 설정된 포트폴리오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성과 시뮬레이션
![]() |
![]() |
![]() |
![]() |
다이렉트 인덱싱에서는 투자 성과를 미리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며,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성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실제 투자를 진행하기 전에, 설정한 투자 전략의 유효성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대표지수인 코스피 외에도 NH증권에서 제공하는 특정 지수와 내가 만든 지수의 성과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시뮬레이션 결과가 만족스럽다면, 이제 실제로 투자를 하면 되겠습니다. 실제 투자를 하려면, 계약을 완료하고 투자금을 입금하면, 나만의 지수에 맞춰 포트폴리오가 자동으로 구성됩니다. 투자 완료 후에는 카카오톡 알림이나 앱 알림을 통해 포트폴리오 구성을 확인하고, 자동 주문을 통해 모든 종목을 한 번에 주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NH 다이렉트 인덱싱에서는 투자 후에도 여러 기능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더보드 기능을 통해 다른 사람의 전략을 확인하거나, 자신이 만든 전략을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다양한 전략을 비교하고,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배울 수 있습니다. 소수점 종목 거래를 지원하므로, 적은 금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며, 30만 원 정도의 적은 금액으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NH증권 다이렉트 인덱싱을 통해 자신만의 철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수를 만들어, 그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직접 만들어 운용하는 재미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다이렉트 인덱싱은 단순히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 전략을 설계하고, 그 전략을 실현하는 새로운 방식의 투자 방법을 제공합니다.
증권사별 유형별 CMA 계좌 금리 비교
CMA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설명드렸으니, 이제는 증권사별로 CMA 금리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금리의 경우 기준금리가 변동할 때마다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2024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정리한 자료
trajectory.tistory.com
수시형 만기형 적립형 외화발행어음 금리 미래에셋 한국투자 KB NH투자증권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외화 발행 어음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외화 발행 어음은 수시입출금 파킹통장이나 예금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금융 상품으로, 높은 이자 수익을 제
trajectory.tistory.com
휴대폰으로 공모주 청약하기 NH투자증권 나무증권 MTS 공모청약방법
요즘 공모주 시장은 아주 뜨겁습니다. 우진엔텍의 경우 공모가 대비 680%나 올라서 놀라운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휴대폰으로 공모주 청약은 어떻게 하는지 실제로 휴대폰 화
trajectory.tistory.com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드맥스 ETF ROC 세금 환급 CONY 코니를 확인해 보자 (0) | 2025.03.14 |
---|---|
레버리지 ETP ETF 및 ETN 투자 전 금융투자교육원 사전 교육 필수 (0) | 2025.03.13 |
서학개미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 TOP 10 (0) | 2025.03.10 |
트럼프 풋 1기 미중 무역 전쟁 당시 S&P500 주가 (1) | 2025.03.06 |
AI 상승장 200일 선 지지하며 반등하고 있다. S&P500 나스닥 차트 (1) | 2025.03.05 |
댓글